오이 1접 (100개)
씻지 않은 채
항아리에 차곡차곡 담습니다.
제가 수년간 경험한 결과.
씻지 않고, 바로 작업 들어간 오이지가
씻어 담근 오이지보다 훨씬 아닥 거립니다.
오이 1접에
굵은 소금 1바가지(1kg), 생수 5바가지(1,300g x 5)
위의 농도로 희석시키면
저렇게 500원 동전크기가 얼굴을 내밉니다.
팍팍 끓여서...
뜨거울 때
여지없이...확~~부어줍니다.^^
저렇게..
수면이 밑에 있어요.
'소금물 모자라는 거 아냐?'
걱정하지 마시고..
뚜껑 덮으세요.ㅎㅎ
하룻밤 지났어요.
보세요. 소금물이 올라왔죠?
오이에서 수분이 많이 빠진겁니다.
적당한 덮개 올린 후
돌멩이로 꽉 눌러서...
11~12일 후.
보관용기에 오이지만 담습니다.
그리고 저는 소금물은 버립니다.
생수에 집간장,소주,맛술,굵은 소금으로 짭짤하게 간하여
멸치,고추 넣고 끓입니다.
소주와 맛술은 각 1컵씩 넣고,간장과 소금은 적당히 가감.
반드시 식혀서
보관용기에 부어줍니다.
보관은 김치냉장고나 냉장실.
이렇게 하면
1년내내 오이지 꺼낼 때 기분이 깔끔합니다.
이 국물울 먹는 건 아니지만
전 항상 이렇게 한답니다.
성공한 오이지의 속살입니다.^^
씨가 모구 등쪽으로 달라 붙었죠?
따로 노는 씨는 한 개도 없답니다.^^
소금물의 위력이에요.ㅎ~
얇게 썰어,바락바락 씻은 후
생수에 식초,설탕 약간만 넣어서..
얼음 동동 띄우면..
거창한 냉국 왔다가 울고 간답니다.
'정보,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방간의 증상과 치료 (0) | 2010.07.03 |
---|---|
장마철 습기 대책 (0) | 2010.06.24 |
뱃살 빼기 위한 5계명 (0) | 2010.05.11 |
우리나라 요리 총집합 (0) | 2010.05.08 |
[스크랩] 간이과세자와 계약시 부가세 납세의무자 및 과세표준 세금계산서 가능여부 (0) | 201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