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冬至) 팥죽> 이야기
해마다 (양력)12월 21일 ~ 22일은 동지(冬至)이다.
24절기 중의 하나인 동지(冬至)는 밤이 가장길고 낮 시간(9시간 45분 정도)이 가장 짧은 날이다.
(음력)11월을 동짓달이라 부르는 것은 이 동지(冬至)가 들어 있는 달(月)이기 때문이다.
동지(冬至)는 [아세(亞歲)] 혹은 [작은 설]이라고 불렸는데, 그것은 옛날에는 동짓달을
정초(正初)로 생각했던 풍습(風習)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지엔 팥죽을 먹고 한살 더 먹는다고 했다.”
붉은 팥으로 죽을 쑤는데, 찹쌀가루로 새알 크기로 빚어 넣어 새알심으로 맛을 돋우었다.
그리고 동지(冬至) 팥죽에 세알심을 넣는 것은 시작과 번영(繁榮)을 의미(意味)한다고 했다.
동지(冬至) 풍습은
팥죽을 시절음식으로 삼아 사당(祠堂)에 고사하고 죽물을 대문에 뿌리면 액(厄)을 제거 한다고 했다.
동지에 팥죽을 쑤어먹는 풍속(風俗)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중국(中國) 육조시대의 후베이(湖北)
지방과
이라는 사람이 지은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 기록을 보면 공공(共工)씨의 재주 없는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질(천연두)귀신이 됐는데,
그 아들이 생전(生前)에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물리 쳤다는 것이다. 팥은
곡물 중에서 유독 붉은 것이고, 붉다는 것은 우리말의 밝다 에서 온 말이며 귀신은 밝은 것, 즉
붉은 것을 싫어하므로 달아나거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고대인의 원시사상이 작용
악귀(惡鬼)를 쫓을 때 주술로서 붉은 것을 사용하게 되었다.
동지에 팥죽을 먹고 뿌리는 것은 동짓날이 태양이 운행하는 시발점 이므로
고대에 이를 정월(정초)로 삼았던 데서 비롯된 것이며 당나라 때만 해도 한동안
그대로 유지 되어 오다가 역법(曆法)의 발달과 국가의 제정(制定)으로 1월을
정월(正月)로 잡은 후에도 이 동지의 유속(遺俗)은 그대로 계승(繼承) 된 것이다.
동지풍습(冬至風習)은 주술적인 의미로 팥죽을 끊여 먹고 뿌리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조선조 말기까지의 국주(國主 : 국왕) 풍습에도 살아있었다. 즉 관상감(觀象監)에서는 해마다
동짓달에 이듬해의 역서(曆書 : 한해 운수를 역은 책)를 만들어 궁중에 바쳤다.
이 역서(曆書)는 노란색으로 장정(裝幀)한 ①황장력(黃粧曆)을 제일로 쳤고. 그 다음이
②청장력(靑粧曆), ③백장력(白粧曆) 순서였는데, 왕은 이에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어새(임금의 도장)를 찍어 문무백관(文武百官)과 관아(官衙)에 나눠줘 새해가 옴을 알려줬다.
동지(冬至)는 그 드는 달이 상순에 들면 [애기동지] 하순에 들면 [노(老)동지]로 불리기도 하는데.
애기동지일 때는 팥죽을 끓여 먹지 않는다는 속설(俗說)도 있었으나 그것은 잘못된 속설(俗說)이다.
그 속설이 생기게 된 동기는 옛날에는 식량이 풍부하지 않아 동지팥죽을 못 끓여 먹는 마음(心)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속설(俗說)로, 애기동지라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는 것은 아니다.
팥죽 쑤는 요령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도 나와 있지만,
쌀을 씻어 2 ~ 3시간 담가 두었다가 건져놓고. 팥은 잠길 만큼의 물을 붓고
삶은 첫물은 버리고(떫은맛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다시 넉넉한 물에 푹 삶는다.
푹 삶은 팥을 주걱으로 으깨어 체에 걸러 껍질을 버리고 팥물과 가라앉힌 앙금만 쓴다.
솥에 쌀(새알심이 아님)을 넣고 팥물만 부어 끓이다가 쌀알이 퍼지면 가라앉힌 앙금을 넣고
눌어붙지 않게 은근한 불로 저으면서 끓이다가 팥물이 끓으면 새알심을 넣고 새알심이 익어서
떠오르면 불을 끊다. 소금으로 간을 하고 식성에 따라 설탕을 가미 할 수도 있다.
새알심은 찹쌀 가루로 익반죽(따뜻한 물로 반죽)해서 동글동글하게 새알처럼 빚어 팥죽이 끓을 때 넣는다.
(소금으로 간을 하면 쉬 삭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팥죽에 동치미 국물을 곁들여 먹으면 그 맛이 제 맛이다.
팥은 죽 외에도 떡에도 쓰이고 질역(염병)이 전염 되었을 때에 팥을 우물에 넣었으며,
경사가 있을 때도 팥밥을 하는데 모두 팥이 민속적으로 축귀(逐鬼 : 귀신을 쫓음)의 힘(力)이
인정되었기 때문이다.
|
'알아둘만 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치있게 사는 방법 (0) | 2009.12.28 |
---|---|
일식요리 (0) | 2009.12.23 |
느타리버섯 녹차불고기 (0) | 2009.11.11 |
버섯요리 (0) | 2009.11.09 |
[스크랩] 돈 안들이고 하는 건강법 (0) | 2009.10.12 |